5. 오차역전파법
이번장에서 배운 내용
- 오차역전파법 은 계산 그래프로 이해할 수 있대.
- 계산 그래프의 노드는 국소적 계산으로 구성된다.
- 계산 그래프의 역전파로는 각 노드의 미분 을 구할 수 있다.
- 오차역전파법 : 신경망의 구성 요소를 계층으로 구현하여 기울기를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.
- 기울기 확인 : 수치 미분과 오차역전파법의 결과를 비교하면 오차역전파법의 구현에 잘못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.
계산 그래프
- 그래프 자료구조로, 복수의 노드(node)와 에지(edge)로 표현된다.
- 계산 그래프의 특징은 각 노드에서의 계산인 ‘국소적 계산’을 전파함으로써 최종 결과를 얻는다는 것
- 국소적인 계산은 단순하지만, 그 결과를 전달함으로써 전체를 구성하는 복잡한 계산을 가능케 함
- 순전파(forward propagation)란 위의 ‘계산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’하는 것
- 역전파(backward propagation)란 그 반대로 ‘계산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’하는 것
- 계산 그래프의 이점은 순전파와 역전파를 활용해서 각 변수의 미분 을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다는 것
연쇄법칙(chain rule)
- 역전파가 ‘국소적 미분’을 전달하는 원리는 연쇄법칙 에 따른 것
- 국소적인 미분은 상류에서 전달된 값에 곱해 앞쪽 노드로 전달하는 것
- 연쇄법칙은 합성 함수의 미분에 대한 성질이며,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- 합성 함수의 미분은 합성 함수를 구성하는 각 함수의 미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.
- 연쇄법칙 계산을 계산 그래프로 나타내보면 아래처럼 나타낼 수 있다.
- 맨 왼쪽 역전파를 보면 ‘x에 대한 z의 미분’으로 역전파가 하는 일은 연쇄법칙의 원리와 같다.
역전파의 구조 - 덧셈 노드, 곱셈 노드
덧셈 노드의 역전파
- 덧셈 노드 역전파는 입력 신호를 다음 노드로 출력한다.
곱셈 노드의 역전파
- 곱셈 노드 역전파는 상류의 값에 순전파 때의 입력 신호들을 ‘서로 바꾼 값’을 곱해서 하류로 보낸다.
- 그러므로 곱셈 노드 역전파는 순방향 입력 신호의 값이 필요하므로, 곱셈 노드를 구현할 때는 순전파의 입력 신호를 변수에 저장해둔다.
단순한 계층 구현하기
곱셈 계층
class MulLayer:
def __init__(self):
self.x = None
self.y = None
def forward(self, x, y):
self.x = x
self.y = y
out = x * y
return out
def backward(self, dout):
dx = dout * self.y # x와 y를 바꾼다.
dy = dout * self.x
return dx, dy
# 순전파 예시
apple = 100
apple_num = 2
tax = 1.1
mul_apple_layer = MulLayer()
mul_tax_layer = MulLayer()
apple_price = mul_apple_layer.forward(apple, apple_num)
price = mul_tax_layer.forward(apple_price, tax)
print(price) # 220
# 역전파 예시
dprice = 1
dapple_price, dtax = mul_tax_layer.backward(dprice)
dapple, dapple_num = mul_apple_layer.backward(dapple_price)
print(dapple, dapple_num, dtax) # 2.2 110 200
덧셈 계층
class AddLayer:
def __init__(self):
pass
def forward(self, x, y):
out = x + y
return out
def backward(self, dout):
dx = dout * 1
dy = dout * 1
return dx, dy
# 사과 2개와 귤 3개를 사는 상황 구현
# 사과 가격: 100(1개), 귤 가격: 150(1개)
# 소비세: 10%
apple = 100
apple_num = 2
orange = 150
orange_num = 3
tax = 1.1
mul_apple_layer = MulLayer()
mul_orange_layer = MulLayer()
add_apple_orange_layer = AddLayer()
mul_tax_layer = MulLayer()
# 순전파
apple_price = mul_apple_layer.forward(apple, apple_num)
orange_price = mul_orange_layer.forward(orange, orange_num)
all_price = add_apple_orange_layer.forward(apple_price, orange_price)
price = mul_tax_layer.forward(all_price, tax)
# 역전파
dprice = 1
dall_price, dtax = mul_tax_layer.backward(dprice)
dapple_price, dorange_price = add_apple_orange_layer.backward(dall_price)
dorange, dorange_num = mul_orange_layer.backward(dorange_price)
dapple, dapple_num = mul_apple_layer.backward(dapple_price)
print(price) # 715
print(dapple_num, dapple, dorange, dorange_num, dtax) # 110 2.2 3.3 165.0 650
활성화 함수 계층 구현하기 - ReLU, Sigmoid
ReLU
- 순전파 때의 입력인 x가 0보다 크면 역전파는 상류의 값을 그대로 하류로 흘린다.
- 순전파 때 x가 0 이하면 역전파 때는 하류로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.
- Relu 클래스는 mask라는 인스턴스 변수를 가진다.
- 역전파 때는 순전파 때 만들어둔 mask를 써서 mask의 원소가 True인 곳에는 상류에서 전파된 dout을 0으로 설정한다.
import numpy as np
x = np.array([[1.0, -0.5], [-2.0, 3.0]])
print(x)
mask = (x <= 0)
print(mask)
class Relu:
def __init__(self):
self.mask = None
def forward(self, x):
self.mask = (x <= 0)
out = x.copy()
out[self.mask] = 0
return out
def backward(slef, dout):
dout[self.mask] = 0
dx = dout
return dx
Sigmoid
- Sigmoid 계층의 역전파는 순전파의 출력(y)만으로 계산할 수 있다.
class Sigmoid:
def __init__(self):
self.out = None
def forward(self, x):
out = 1 / (1 + np.exp(-x))
self.out = out
return out # 순전파의 출력을 인스턴스 변수 out에 보관, 역전파 계산 때 사용
def backward(self, dout):
dx = dout * (1.0 - self.out) * self.out
return dx
Affine/Softmax 계층 구현하기
Affine 계층
- 행렬의 곱 계산은 대응하는 차원의 원소 수를 일치시키는게 핵심
- 신경망의 순전파 때 수행하는 행렬의 곱은 기하학에서는 어파인 변환(affine transformation)이라고 함
- 어파인 변환을 수행하는 처리를 ‘Affine 계층’이라는 이름으로 구현
- 행렬의 곱(‘dot’ 노드)의 역전파는 행렬의 대응하는 차원의 원소 수가 일치하도록 곱을 조립하여 구할 수 있다.
배치용 Affine 계층
- 데이터 N개를 묶어 순전파하는 경우를 고려한 배치용 Affine 계층
- 순전파의 편향 덧셈은 각각의 데이터(1번째 데이터, 2번째 데이터, …)에 더해진다.
- 역전파 때는 각 데이터의 역전파 값이 편향의 원소에 모여야 한다.
- np.sum(axis=0)을 이용
Softmax-with-Loss 계층
- 손실함수인 교차 엔트로피 오차도 포함한 소프트맥스 계층 구현
- softmax 계층은 입력 (a1, a2, a3)를 정규화하여 (y1, y2, y3)를 출력한다.
- cross-entropy-error 계층은 softmax의 출력 (y1, y2, y3)와 정답 레이블 (t1, t2, t3)를 받고, 이 데이터들로부터 손실 L을 출력
- softmax 계층의 역전파는 (y1-t1, y2-t2, y3-t3)라는 말끔한 결과를 냄
- softmax 함수의 loss function으로 ‘cross entropy error’를 사용하면 그렇게 되도록 설계된 것
- 마찬가지로, 항등함수의 loss function으로 ‘sum of squared error(SSE);오차제곱합’을 사용
- 신경망 학습의 목적은 신경망 출력(softmax의 출력)이 정답 레이블과 가까워지도록 가중치 매개변수의 값을 조정하는 것
- 신경망의 출력과 정답 레이블의 오차를 효율적으로 앞 계층에 전달해야 한다.
- (y1-t1, y2-t2, y3-t3)라는 결과는 softmax 계층의 출력과 정답 레이블의 차이
- 신경망의 현재 출력과 정답 레이블의 오차를 있는 그대로 드러낸다.
- 역전파 때는 전파하는 값을 배치의 수(batch_size)로 나눠서 데이터 1개 당 오차를 앞 계층으로 전파하는 점 주의
class SoftmaxWithLoss:
def __init__(self):
self.loss = None # 손실
self.y = None # softmax의 출력
self.t = None # 정답 레이블(one hot vector)
def forward(self, x, t):
self.t = t
self.y = softmax(x) # 3. 신경망 챕터 참고
self.loss = cross_entropy_error(self.y, self.t) # 4. 신경망학습 챕터 참고
return self.loss
def backward(self, dout=1):
batch_size = self.t.shape[0]
dx = (self.y - self.t) / batch_size
return dx
오차역전파법 구현하기
오차역전파법
import numpy as np
from common.functions import *
from common.layers import *
from common.gradient import numerical_gradient
from collections import OrderedDict
class TwoLayerNet:
def __init__(self, input_size, hidden_size, output_size,
weight_init_std=0.01):
# 가중치 초기화
self.params = {}
self.params['W1'] = weight_init_std * np.random.randn(input_size, hidden_size)
self.params['b1'] = weight_init_std * np.random.randn(hidden_size)
self.params['W2'] = weight_init_std * np.random.randn(hidden_size, output_size)
self.params['b2'] = np.zeros(output_size)
# 계층 생성
self.layers = OrderdDict() # 순서가 있는 딕셔너리
self.layers['Affine1'] = Affine(self.params['W1'], self.params['b1'])
self.layers['Relu1'] = Relu()
self.layers['Affine2'] = Affine(self.params['W2'], self.params['b2'])
self.lastLayer = SoftmaxWithLoss()
def predict(self, x):
for layer in self.layers.values():
x = layer.forward(x)
return x
# x: 입력 데이터, t: 정답 레이블
def loss(self, x, t):
y = self.predict(x)
return self.lastLayer.forward(y, t)
def accuracy(self, x, t):
y = self.predict(x)
y = np.argmax(y, axis=1)
if t.ndim != 1: # one hot encoding일 때
t = np.argmax(t, axis=1)
accuracy = np.sum(y == t) / float(x.shape[0])
return accuracy
def numerical_gradient(self, x, t): # 미분 계산
loss_W = lambda W: self.loss(x, t)
grads = {} # params 변수에 대응하는 각 매개변수의 기울기가 저장
grads['W1'] = numerical_gradient(loss_W, self.params['W1'])
grads['b1'] = numerical_gradient(loss_W, self.params['b1'])
grads['W2'] = numerical_gradient(loss_W, self.params['W2'])
grads['b2'] = numerical_gradient(loss_W, self.params['b2'])
def gradient(self, x, t):
# 순전파
self.loss(x, t)
# 역전파
dout = 1
dout = self.lastLayer.backward(dout)
layers = list(self.layers.values())
layers.reverse() # 계층 순서를 거꾸로
for layer in layers:
dout = layer.backward(dout) # 거슬러 올라가며 역전파 계산
# 결과저장
grads = {}
grads['W1'] = self.layers['Affine1'].dW
grads['b1'] = self.layers['Affine1'].db
grads['W2'] = self.layers['Afifne2'].dW
grads['b2'] = self.layers['Affine2'].db
return grads
기울기 검증
- 수치 미분의 결과와 오차역전파법의 결과를 비교하여 오차역전파법을 제대로 구현했는지 검증
- 이를 기울기 확인(gradient check)이라고 함
(x_train, t_train), (x_test, t_test) = load_mnist(normalize=True, out_hot_label=True)
network = TwoLayerNet(input_size=784, hidden_size=50, output_size=10)
x_batch = x_train[:3]
t_batch = t_train[:3]
grad_numerical = network.numerical_gradient(x_batch, t_batch)
grad_backprop = network.gradient(x_batch, t_batch)
# 각 가중치의 차이의 절댓값을 구한 후, 그 절댓값들의 평균을 낸다.
for key in grad_numerical.keys():
diff = np.average(np.abs(grad_backprop[key] - grad_numerical[key]))
print(key + ":" + str(diff))
오차역전파법을 사용한 학습 구현
import numpy as np
from master.dataset.mnist import load_mnist
from master.two_layer_net import TwoLayerNet
# 데이터 읽기
(x_train, t_train), (x_test, t_test) = load_mnist(normalize=True, one_hot_encoding=True)
network = TwoLayerNet(input_size=784, hidden_size=50, output_size=10)
iters_num = 10000
train_size = x_train.shape[0]
batch_size = 100
learning_rate = 0.1
train_loss_list = []
train_acc_list = []
test_acc_list = []
iter_per_poch = max(train_size/batch_size, 1)
for i in range(iters_num):
batch_mask = np.random.choice(train_size, batch_size)
x_batch = x_train[batch_mask]
t_batch = t_train[batch_mask]
# 오차역전파법으로 기울기를 구한다.
grad = network.gradient(x_batch, t_batch)
# 갱신
for key in ('W1', 'b1', 'W2', 'b2'):
nerwork.params[key] -= learning_rate * grad[key]
loss = network.loss(x_batch, t_batch)
train_loss_list.append(loss)
if i % iter_per_poch == 0:
train_acc = network.accuracy(x_train, t_train)
test_acc = network.accuracy(x_test, t_test)
train_acc_list.append(train_acc)
test_acc_list.append(test_acc)
print(train_acc, test_acc)